우울증의 약물요법과 주의점

우울증


우울증이란?

  • 우울증이란 한 마디로 기분이 우울한 상태가 특징인 정신과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질환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래된 질환이고 주위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정신과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나 보통 알고 있는 것처럼 일시적으로 슬프고 우울한 기분이 드는 상태와는 다르며 단순히 의지가 약해서 생기는 병이 아닙니다.
  •  우울증은 수면, 식사, 신체, 사고 방식,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몇 달 또는 몇 년간 증상이 계속되기도 하고, 또 재발이 잘 되기 때문에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할 경우에는 우울 증상으로 장기간 고통을 받게 되거나 심하면 자살에까지 이를 수도 있게 되는 무서운 병입니다. 반면에 이것은 정신과 질환 중에서 가장 치료가 잘 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므로 적절히 치료만 받는다면 대개의 경우 정상인과 같이 즐거운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약물요법

  • 아목사핀(Amoxapine)
  • 부프로피온(Bupropion)
  • Monoamine Oxidase Inhibitors(MAO억제제)
  • 트라조돈(Trazodone)
  • 아미트리프틸린(Amitriptyline)
  • 독세핀(Doxepin)
  • 이미프라민(Imipramine)

 

용법

  • 처방대로 복용합니다.

 

약물유해반응 (의심되면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세요.)

1. 어지러움, 현기증
  • 어지러움이나 현기증이 많이 나면 자기 전에 약물을 복용하고 만약 불면증이 나타나면 아침에 약물을 복용합니다.
  • 앉거나 누웠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어지러울 수 있으므로 일어날 때는 천천히 일어나도록 합니다.
  • 처음 약물을 복용하고 수 주간은 어지러움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조작은 주의를 요합니다.
  • 술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식은 어지러움을 더할 수 있으므로 피합니다.

 
2. 입마름
  • 입이 마를 때에는 무설탕 껌을 씹거나 무설탕 사탕을 드십니다.

 
3. 기타
  • 변비나 소변 배설에 어려움이 있거나 눈이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적이면 의사와 상담합니다.
  • 열이 나거나 발진이 생기거나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게 뛰면 의사의 진료를 받습니다.
  • 피부가 햇빛에 민감해질 수 있으므로 옷으로 가리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바릅니다.

약물상호작용

  • 중추신경 저해작용과 항콜린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 알코올 : 중추신경 저해작용과 항콜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간의 약물 분해 효소를 증가시키는 약물: 삼환계항우울제의 혈중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습니다.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페니토인(Phenytoin), 바비츄레이트(Barbiturates)
  • 간의 약물 분해 효소를 억제시키는 약물: 삼환계항우울제의 혈중농도가 상당히 증가되어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일상생활에서의 주의점

  • 술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는 약물의 약물유해반응으로 나타나는 어지러움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피합니다.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