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동화제(단백동화호르몬제제)
이 의약품은 무엇입니까?
- 남성호르몬(안드로겐) 결핍에 따른 피로, 근육량 감소, 복부 비만, 성기능 감소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남성호르몬 유도체를 보충해주는 의약품입니다. 선천성 남성호르몬결핍 및 신장애 시 투석으로 인한 결핍 시 이에 대한 보충치료제로 처방됩니다.
단백동화제는 어떻게 작용합니까?
- 경구 혹은 주사제 형태로 사용되며, 안드로겐 생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안드로겐의 적절농도를 유지시키는 의약품입니다.
단백동화제를 사용하기 전 미리 의사·약사에게 알려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안드로겐 의존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 악성 종양으로 고칼슘혈증 위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
- 남성유방암 환자의 경우
- 중증의 간기능장애, 심부전 및 신부전 환자의 경우
- 사춘기 이전의 남성 혹은 임부 및 수유부의 경우
-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경우
단백동화제를 사용하는 동안 특별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소아에게 사용되면 성장판이 일찍 닫히고 사춘기의 시작을 알리는 일련의 2차성징들이 평균시기보다 빨리 나타납니다. 특히 여아의 경우 남성화 성징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손에 닿지 않도록 절대 주의하여야 합니다.
- 단백동화제 복용 시에 단백동화 호르몬에 의해 혈액응고 관여 인자가 억제되어 혈액응고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외상에 주의하며, 수술이나 치과 치료 시에 반드시 의사에게 미리 알리도록 합니다.
- 간 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간 기능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도록 합니다.
- 단백동화제의 복용시작 및 시작 후 처음 12개월간은 분기마다, 그 이후에는 매년 몇몇 지표들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므로 의사와 상의하도록 합니다. (전립선의 직장수지검사(DRE)와 전립선 특이항원(PSA), 적혈구증가증 배제를 위한 헤마토크리트와 헤모글로빈)
단백동화제의 이상반응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구역,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여성의 경우 남성 목소리(쉰 목소리)로의 변성, 털 자람이 빠르고 많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드름, 월경이상, 음핵비대, 성욕의 항진, 유즙분비의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남성의 경우 음경비대, 지속성발기, 전립선 악성종양증식의 가속화, 정자감소, 정액감소 등의 고환기능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백동화제의 장기간 사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장기간 사용 시 전립선비대, 흉부종양, 안드로겐 의존성 종양인 전립선암 등의 유발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종, 나트륨, 체액의 저류(빠져나가야 할 수분 등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현상), 황달, 고칼슘혈증, 골격무게의 증가, 질소의 배설지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백동화제의 과량 사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과량 투여 시, 피마자유로 인한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