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브리오패혈증(Vibrio vulnificus)
콜레라로 유명한 비브리오 속에 포함되는 "비브리오 블니피쿠스"가 일으키는 병이다. 대표적인 감염 시 특징은 감염된 생물의 체표에 궤양이나 얼룩장출혈이 생기는 것이다.
6~9월에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며, 일단 감염되면 병의 진행이 빨라 사망률(60%)이 높은 질환이므로 조기진단 및 신속한 치료가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식하였을 경우 잠복기는 1~2일이나, 피부 감염의 경우는 약 12시간 이다.
비브리오패혈증 개요
1. 정의 : 비브리오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
2. 전파경로 :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을 경우 또는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
3. 잠복기 : 12시간 ~ 72시간
4. 증상
-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1/3은 저혈압이 동반
- 대부분 증상 발생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생기고, 주로 하지에 발생
- 피부병변은 발진, 부종으로 시작하여 수포, 또는 출혈성 수포를 형성한 후 점차 범위가 확대 되고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
5. 진단 : 검체(혈액, 대변, 소변, 직장도말물, 구토물, 수포액, 피부병변, 조직)에서 V. vulnificus 분리 동정
6. 치료
- 병변절제 : 괴사조직 제거 및 근막절개술
- 항생제 치료 : 3세대 세팔로스포린, 플루오로퀴놀론,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로 즉각 치료
7. 전염기간 : 사람 간 직접 전파는 없음
8. 치사율 : 균혈증 진행 시 50% 내외, 저혈압 진행 시 90% 내외
9. 관리 : 환자 격리는 불필요
10. 예방
- 어패류 충분히 익혀 먹기(특히, 고위험군 환자)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을 피하고, 바닷물에 접촉시 깨끗한 물과 비누로 노출 부위 씻기
비브리오폐혈증 Q&A
1. 비브리오패혈증은무엇인가요?
비브리오 패혈균(Vibrio vulnificus)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으로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는 감염증입니다.
2. 비브리오패혈증 감염시 증상은 무엇인가요?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고 발열 후 증상 발현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합니다.
피부 병변은 주로 하지에서 시작하는데, 병변의 모양은 발진, 부종으로 시작하여 수포, 또는 출혈성 수포를 형성한 후 점차 범위가 확대되면서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합니다.
3. 비브리오패혈증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되며, 사람 간은 전파되지 않습니다.
4. 비브리오패혈증 예방 방법은 무엇인가요?
어패류 생식을 피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을 금지해야 합니다. 특히, 고위험군(간질환자(만성 간염, 간경화, 간암)), 알코올 중독자, 면역저하 환자 등은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어패류는 가급적으로 5℃ 이하로 저온 저장, 85℃ 이상으로 가열처리하거나 흐르는 수돗물에 씻은 후 섭취. 또한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소독 후 사용해야 합니다.
5. 비브리오패혈증 치료방법은 무엇인가요?
적절한 항생제복용을 통해 치료하고, 필요한 경우 적극적인 병변절제를통해서 치료합니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1.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2.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3.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1.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2.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3.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4.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5.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6.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중독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아 더욱 주의하여야 한다.
